퇴직금 계산기
직장생활을 하게 되면 퇴직을 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합니다. 정년퇴직이라던지 혹은 개인적인사정, 이직등과 같은 이유에 따라서 다니던 회사를 퇴사하게 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렇게 퇴사하게 되면 그동안 다닌 회사에서 퇴직금을 받게 됩니다. 그렇다면 얼마정도의 퇴직금을 받는지 궁금하실겁니다. 그래서 오늘은 퇴직금 계산기 이용하여 모의계산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퇴직금 계산기 활용방법 |
퇴직금 계산기는 사실상 찾아보면 여러군데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희가 오늘 알아볼 계산기는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는 계산기입니다. 다른곳보다 아무래도 신뢰가 더 가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 소개드리려고 합니다. 퇴사예정이시라면 대략 얼마정도의 퇴직금을 받게 되는지 알아두시는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는 퇴직금 계산기는 홈페이지를 통하시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동부는 검색하시면 누구나 쉽게 접속하셔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 검색 후 접속해주시면 됩니다. 고용노동부에서는 퇴직금 계산기는 물론이며 그 외 다양한 노동소식이나 취업, 직업훈련, 노동용어집등에 대한 내용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접속한 모습입니다. 민원에 대한 부분도 확인가능하며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산기는 아래로 조금만 내려보시면 확인이 가능합니다.
하단으로 조금 내리면 우측에 퇴직금 계산기 메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퇴직연금제도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고용보험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실업급여와 모성보호급여도 확인가능합니다. 퇴직금 메뉴를 클릭해서 이동해주세요.
퇴직금 메뉴를 누르고 아래로 내리다보면 퇴직금 계산기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클릭해서 다음으로 이동해주세요.
메뉴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계산기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이곳에서 입사일자와 퇴직일자를 작성하시면 재직일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기간이 산정되어 나오는데 해당기간에 받았던 기본급과 기타수당을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또한 연차수당이나 연간상여금이 있으면 금액을 정확히 작성해주셔야 합니다. 그래야 정확한 결과값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퇴직금 계산기 모의계산 |
다음으로는 계산기를 활용하여 모의계산을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상단에서 입사날짜와 퇴사날짜를 작성하고 평균임금계산하기버튼을 눌러주시면 다음과 같이 기간이 설정되어 나오게 됩니다. 기간은 퇴사하기 3개월전의 날짜로 나오며 제가 설정한 입사일자는 2017년 1월 1일이고 퇴사날짜는 2020년 1월 1일로 설정해보았습니다.
기간에 따라서 기본급과 기타수당을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저는 기본급은 250만원 기타수당 10만원으로 작성해보았습니다.
그리고 이후에 작성한것은 연간상여금과 연차수당입니다. 각 각 금액을 작성하신 뒤 평균임금계산을 누르면 1일평균임금이 나오게 됩니다. 그 이후 퇴직금계산을 누르게 되면 내가 받게 될 예상 퇴직금을 확인해볼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해당값은 엑셀로 결과를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다음은 엑셀로 확인해본 퇴직금 계산기 결과값입니다. 엑셀에서 제공하는 1일 평균임금 계산식과 퇴직금 계산식을 확인해보시면 어떤 원리로 계산을 했는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퇴직금은 1일 평균임금X30일X총재직일수/365 로 계산해보시면 됩니다.
제가 직접 모의계산을 해보았지만 바로 우측에 퇴직금 계산기를 활용한 예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해하는데 있어서 어려우신부분은 없으리라고 생각됩니다.
지금까지 퇴직금 계산기를 활용한 퇴직금을 확인해보았습니다. 앞으로 퇴사할 예정이 있으신분들은 퇴사계획 잘 세우시고 꼼꼼하테 퇴직금액을 받아가시기 바라겠습니다.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고 있으니 해당사이트 이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정보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국민 무료신용등급조회 방법 (0) | 2019.06.18 |
---|---|
건강보험관리공단 자격득실확인서 발급방법 (0) | 2019.06.17 |
다음바둑 바로가기 (1) | 2019.06.16 |
일용직 4대보험 신고 방법 (0) | 2019.06.16 |
자동차세 카드납부 무이자 확인하기 (0) | 2019.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