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소득세 비과세요건 꿀팁

정보기록|2019. 5. 20. 01:06

양도소득세 비과세요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양도소득세란 부동산의 소유권을 타인에게 넘기게 되면서 발생하는 차익에 세금을 부과하는것을 말합니다. 예시로 5억원의 부동산을 구매하여 8억에 양도하면 3억의 시세차익이 발생하는데 이 시세차익에 세금을 부과하는것을 말합니다.




하지만 양도거래가 있다고 해도 모두 세금을 내는것이 아닙니다. 양도소득세 비과세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잘 알고 이용하면 양도세 절세를 하실 수 있습니다. 어떤 요건이 있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 비과세요건은 1세대1주택이지만 3년동안 거주하게 되면 됩니다. 예전에는 2년동안 보유조건이였지만 2017년도부터 법이 바뀌어서 실거주를 해야 합니다. 2년에서 3년으로 기간도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또 실거래금액은 9억원 이하여야 합니다. 




다음으로는 일시적으로 1세대2주택자인경우에 해당됩니다. 그 이유는 다양한데요. 1세대 1주택자가 1주택을 추가 구입하여 2주택일때 1주택을 3년안에 매도하면 비과세 받을수 있습니다. 또는 결혼을 해서 2주택일땐 5년안에 처분하면 비과세조건이 됩니다. 




상속을 받아서 일시적으로 2주택이 될 수도 있습니다. 상속이란 사망에 의해서 재산을 무상으로 이전받는것을 말하는데 상속으로 부동산을 받으면 일시적으로 2주택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일시적으로 2주택자라고 해도 무조건 비과세요건에 해당되는건 아닙니다. 아무래도 부동산에 대한 시장이 과열되다보니 정부에서도 부동산을 잡기위해서 세금부분을 확대하는것도 있는거 같습니다. 




앞으로 양도할일이 있으신분이라면 비과세요건 잘 알아보시면 좋겠습니다.

댓글()